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서울시 소규모 건축물 용적률 300%로 완화

by 아모르문 2025. 5. 19.
반응형

 

 

목차

    서울시가 침체된 건설경기 활성화와 열악한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 소규모 건축물의 용적률을 3년간 한시적으로 법적 상한까지 완화하는 정책을 2025년 5월 19일부터 본격 시행합니다.

    핵심 내용 요약

    완화 대상 및 범위

    • 제2종 일반주거지역: 용적률 200% → 250%
    • 제3종 일반주거지역: 용적률 250% → 300%
    • 적용 기간: 2025년 5월 19일 ~ 2028년 5월 18일(3년간).

    적용 사업

    • 건축법에 따른 건축허가·신고
    • ‘빈집 및 소규모주택정비법’에 따른
    • 소규모재건축(부지 1만㎡ 미만)
    • 소규모재개발(부지 5000㎡ 미만)
    • 자율주택정비사업(36가구 미만)
    • 단, 가로주택정비사업(2만㎡ 미만)은 제외.

    주요 조건

    • 주거용 다가구·공동주택은 1가구당 전용면적 85㎡ 이하, 오피스텔은 1호당 전용 85㎡ 이하일 때만 용적률 완화 적용.
    • 자율주택정비사업은 별도 사업계획 수립기준 없이 법적 상한까지 완화.

    기대 효과와 추진 배경

    서울시는 이번 조치로 낮은 사업성으로 정비가 어려웠던 노후 연립·다세대주택 재건축이 활성화되고, 도심 내 주택공급 확대 및 건설경기 회복에 실질적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용적률이 완화되면 분양 세대가 늘고, 세대별 분담금이 줄어 주민 부담이 완화되어 사업성이 크게 개선될 전망입니다.

     

    세부 운영기준 및 지원책

    • 사업계획 수립기준 마련
    • 인근 저층 주거지역의 일조·경관 영향 최소화
    • 조화로운 건축계획 유도
    • 지형순응형 계획, 열린단지 조성, 방재안전, 기반시설 정비 등 포함.

    공공지원

    • 희망 사업장 대상 법적상한용적률 계획, 용도지역 상향 가능 여부 등 종합 검토
    • 최적의 건축계획안 제시 및 사업성 분석 무료 지원
    • 사업 전·후 자산가치 평가, 추정 분담금 산출 등 제공.
    • 관련 세부 운영기준은 서울시 누리집에서 확인 가능.

    적용 및 전망

    이번 용적률 완화는 이르면 5월 중 공사 중인 사업장부터 설계 변경을 통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서울시는 권역별 설명회 개최와 함께, 신속한 주민 의사결정과 사업 추진을 위한 다양한 지원책을 병행할 계획입니다.

     

    “이번 조례 개정으로 소규모 건축 활성화를 통해 도심 내 주택공급을 확대하고 침체된 건설경기 회복에도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김성보 서울시 행정2부시장

     

    서울시의 이번 한시적 용적률 완화는 소규모 재건축·재개발 시장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으며, 주거환경 개선과 주택공급 확대, 건설경기 회복이라는 세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적극적인 정책 변화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