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목차
사업 개요
- 위치: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650번지 일대
- 사업 방식: 신속통합기획(신통기획) 재개발
- 규모: 33층 내외, 총 2,250세대의 대규모 아파트 단지 조성
- 용도지역: 기존 1종·2종(7층) 일반주거지역에서 2종 일반주거지역으로 상향
- 용적률: 최대 250% 적용
- 사업 추진 배경: 2014년 정비예정구역 해제 이후 10년간 개발 정체, 2025년 신속통합기획 확정으로 본격 추진.
입지 및 환경
- 자연환경: 관악산과 목골산 자락의 골짜기형 지형에 위치, 풍부한 녹지와 조망권 확보
- 경관 계획: 관악산·목골산 풍경을 담은 경관 창출, 단지 내부에 폭 20m의 십자형 통경축(녹지 보행축) 조성, 산 능선의 흐름을 닮은 스카이라인 설계
- 생활 인프라: 무궁화어린이공원 확장, 서울형 키즈카페 ‘더 난곡’과 연계한 복합 커뮤니티 공간 조성
- 교통: 현재 대중교통 접근성은 부족하나, 향후 경전철 난곡선(우림시장역 예정) 신설 및 난곡로 도로 개선 등으로 교통 여건 대폭 개선 기대.
주요 개발 원칙
- 자연 및 경관과의 조화
- 미래 성장과 지역 활성화
- 주민의 안전하고 편리한 생활을 위한 기반시설 정비
시세 및 인근 아파트 가격 비교
신림동 650번지 일대는 아직 분양가가 공개되지 않았으나, 인근 주요 단지 시세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지명 | 세대수 | 준공연도 | 3.3㎡당 시세(만원) | 비고 |
힐스테이트뉴포레 | 1,143 | 3년차 | 4,583 | 2.6km 거리 |
힐스테이트관악센트씨엘 | 997 | 1년차 | 3,818 | 2.9km 거리 |
이편한세상서울대입구2차(5단지) | 미공개 | 미공개 | 미공개 | 1.5km 거리 |
신림1구역(예정) | 4,798 | 2023년~ | 미공개 | 인근 대규모 단지 |
신림2구역(예정) | 1,487 | 2026년~ | 미공개 | 인근 단지 |
신림3구역(서울대벤처타운역 푸르지오) | 571 | 2024년 | 10억2천(34평 기준) | 신규 입주 단지 |
- 신림3구역 신규 분양가는 34평 기준 약 10억 2천만 원 수준으로, 신림동 650번지 일대 역시 입지와 브랜드, 향후 교통 개선 효과 등을 감안하면 이와 유사하거나 소폭 낮은 수준에서 시세가 형성될 가능성이 높음.
투자 전략 및 전망
투자 포인트
- 신규 공급 효과: 2,250세대 대단지로 관악구 내 희소성 높은 신규 아파트 공급
- 교통 개선 기대감: 경전철 난곡선 신설, 난곡로 도로 개선 등 미래 교통 인프라 확충이 투자 메리트
- 생활 인프라 확장: 공원, 키즈카페, 복합 커뮤니티 등 주거 만족도 상승 요소 다수
- 서울 서남권 균형 발전: 장기간 개발 소외된 지역의 성장 모멘텀 확보, 미래 가치 상승 기대
유의점
- 현재 교통 불편: 난곡선 예비타당성조사가 아직 통과되지 않아 실제 교통 개선 시점은 불확실.
- 입지 경쟁력: 인근 신림1구역, 신림2구역 등과 비교하면 대중교통 접근성, 도로망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약점
- 사업 속도: 신속통합기획으로 행정 절차는 빠르나, 실제 사업시행인가, 분양, 입주까지는 중장기적 관점 필요
전망
- 신림동 650번지 일대는 관악산 조망, 대규모 단지, 미래 교통 개선 등으로 장기적으로 주거 선호도가 높아질 가능성이 급니다.
- 인근 신림3구역 신규 분양가(평균 10억 원대 초반)와 향후 난곡선 개통 효과를 감안하면, 입주 시점에는 서울 서남권 내 주거 핵심지로 부상할 수 있습니다.
- 단, 교통 인프라 개선 전까지는 투자 매력도가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으므로, 중장기 투자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요약
서울 관악구 신림동 650번지 일대는 신속통합기획을 통해 2,250세대 대단지 아파트로 재탄생한다. 관악산 자락의 자연경관, 미래 교통 인프라 개선, 생활 인프라 확충이 강점이며, 인근 신림뉴타운 단지와 비교해도 향후 시세 상승 여력이 충분하다. 다만, 교통 개선의 실현 시점과 입지 경쟁력은 투자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요소다. 중장기적 관점에서 미래 가치에 주목할 만한 재개발 구역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