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목차
1. 주요 증여세 법 변화(2025년 기준)
10년 합산 기준 & 면제 한도
- 부모가 자녀(성인)에게 10년 간 증여할 수 있는 면제 한도는 5,000만원입니다.
- 미성년 자녀는 2,000만원까지입니다.
- 이 한도를 넘으면 누진세율(10~40%)로 증여세가 부과됩니다.
정부 감시 강화
- 2025년 8월부터는 AI 기반의 금융거래 추적이 확대되어, 과거처럼 1,000만원 이상 대형 거래 위주가 아니라 반복 소액 이체까지 감시 대상이 됩니다.
- 반복적으로 50만원씩 매달 송금해도, 10년 누적으로 5,000만원(성인 자녀 기준)을 넘으면 증여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 한 번에 50만원씩 송금하는 것만으로도, 누적 금액이 크면 조사 및 증여세 부과 가능성이 있습니다.
2. 50만원 이상 송금 안전하게 하는 방법
목적과 증빙 확보
- 계좌이체 시 이체 메모란에 명확한 용도(등록금, 의료비, 생활비 등) 기입.
- 그에 맞는 영수증, 명세서 등 실제 사용 내역을 입증할 자료 보관.
- 필요시 차용증(빌려준 돈임을 명시)을 작성.
반복·쪼개기 이체 주의
- 반복적·정기적·패턴화된 송금은 증여로 의심될 수 있으니, 정기송금은 피하고 이체 시간·금액을 분산 추천.
10년 합산 한도 내 송금
- 성년 자녀면 10년간 누적으로 5,000만원, 미성년 자녀는 2,000만원을 넘지 않도록 전체 이체 내역 관리 필수.
초과 시 자진신고
- 한도 초과가 예상되는 경우 증여세 사전 자진신고를 통해 가산세 등 리스크를 줄일 수 있습니다.
전문가 상담 권장
- 자세한 상황별로 세무사 등 전문가 상담을 통해 계획적으로 송금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참고 사례
자녀 구분 | 10년 한도 | 50만원 매달 송금 시 한도 도달 기간 | 증빙자료 |
성년 자녀 | 5,000만원 | 약 8.3년 | 송금 사유, 영수증, 차용증 등 보관 |
미성년 자녀 | 2,000만원 | 약 3.3년 | 동일 |
핵심 정리
자녀에게 50만원 이상 송금도 누적 및 반복하면 증여세 신고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목적과 용도별 증빙 철저 확보, 한도 내 송금, 반복 송금 패턴 줄이기, 필요시 자진신고·세무 상담이 가장 안전한 방법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