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목차
전세보증금 반환보증은 전세 계약 만료 시 집주인으로부터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할 위험에 대비해 HUG(주택도시보증공사) 등 보증기관이 대신 지급해주는 제도입니다. 2025년 기준 HUG 보증료 계산법과 절감 팁, 그리고 계산기 활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HUG 보증료 계산 공식
보증료=보증금액×보증료율× 365 / 계약기간(일)
보증금액: 실제 전세보증금
보증료율: 보증금, 주택유형, 부채비율에 따라 차등 적용
계약기간: 보증기간(일수 기준)
2025년 HUG 보증료율 예시
보증금액 구간 | 주택유형 | 부채비율 80% 이하 | 부채비율 80% 초과 |
9,000만 원 이하 | 아파트 | 0.115% | 0.128% |
단독/다가구/기타 | 0.139% | 0.154% | |
9,000만~2억 이하 | 아파트 | 0.122% | 0.128% |
단독/다가구/기타 | 0.146% | 0.154% | |
2억 초과 | 아파트 | 0.122% | 0.128% |
단독/다가구/기타 | 0.146% | 0.154% |
계산 예시
보증금 2억 원, 아파트, 부채비율 80% 이하, 2년 계약(730일), 보증료율 0.122% 적용 시
- 연 보증료: 2억 × 0.00122 = 244,000원
- 2년 총 보증료: 244,000원 × 2 = 488,000원
- 월 납부액(2년 기준): 약 20,333원
2025년 보증료 계산기 활용법
- HUG 공식 홈페이지, 네이버 부동산, 은행 앱 등에서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계산기’를 제공
- 보증금, 주택유형, 계약기간, 부채비율 등 입력 시 예상 보증료 자동 산출
- 직접 계산이 어려울 경우, HUG 고객센터 또는 가까운 지점에서 상담 가능
https://khig.khug.or.kr/main1.jsp
보증료 절감 팁 3가지
1. 정부 지원 및 할인제도 적극 활용
- 신혼부부, 청년, 저소득층, 장애인, 다자녀 가구 등은 정부 지원 또는 사회배려계층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최대 50~60%까지 할인 적용.
- 전자계약(3%), 인터넷/모바일 가입(3%), 모범납세자(10%), 일시납(1년 초과분 3%) 등 중복할인은 불가하지만, 조건에 맞게 신청하면 추가 절감 가능.
2. 계약 기간 조정
- 보증료는 계약 기간에 비례해 올라가므로, 불필요하게 긴 계약기간을 피하면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2년 계약 대신 1년 계약으로 조정 시 보증료도 절반으로 감소.
3. 기관별 보증료율 비교 및 온라인 가입
- HUG, SGI, HF 등 보증기관별로 보증료율과 조건이 다르므로, 여러 기관의 상품을 비교해 최적의 상품을 선택하세요.
- 온라인 또는 모바일로 가입하면 추가 할인 혜택이 제공되는 경우가 많으니 적극 활용하세요.
결론
2025년 HUG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보증료는 보증금, 주택유형, 부채비율, 계약기간에 따라 달라집니다. 공식 홈페이지나 보증료 계산기를 활용해 예상 비용을 미리 확인하고, 정부 지원 및 다양한 할인 혜택, 계약 기간 조정, 기관별 비교 등 절감 팁을 적극 활용하면 경제적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