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02

2025년 보증금지원형 장기안심주택 제도 개요, 특징, 자격조건, 신청방법, 신청시기 목차서울시가 무주택 시민의 주거 안정을 위해 시행하는 2025년 보증금지원형 장기안심주택 1차 모집이 시작되었습니다. 이번 사업은 전월세 보증금 부담을 크게 줄여주고, 장기적으로 내 집 마련의 기회까지 제공하는 서울시 대표 주거복지 정책입니다.제도 개요 및 특징 지원 방식실물 주택을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시민이 직접 찾은 민간임대주택(아파트, 다세대, 연립, 주거용 오피스텔 등)에 대해 전월세 보증금 일부를 서울시가 무이자로 지원.지원 한도보증금의 30% (최대 6,000만원)까지 무이자 지원. 단, 보증금 1억5천만원 이하 주택은 최대 50%(최대 4,500만원)까지 지원. 지원 기간: 최장 10년간 지원(2년 단위 재계약, 최대 6년까지 연장 가능).공급 규모2025년 1차 모집에서 총 4,000호.. 2025. 5. 2.
과천 주암지구 재개발 사업 진행단계와 특징, 사전청약 일정 전망 목차과천 주암지구는 공공분양과 신혼희망타운, 그리고 주암장군마을 재개발 등 다양한 주택공급 사업이 동시다발적으로 추진되는 과천시의 핵심 주거 개발지구입니다. 최근 전국적으로 사전청약 단지의 본청약 일정이 지연되는 가운데, 과천시는 오히려 일정을 앞당겨 주목받고 있습니다. 아래에서 주암지구의 재개발 사업 진행단계, 주요 특징, 사전청약 및 본청약 일정 전망을 알아보겠습니다.주암지구 재개발 사업 진행단계주암장군마을 재개발2010년 과천시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에 정비예정구역으로 지정.2016년 정비구역 지정, 2017년 추진위원회 설립, 2018년 조합설립 인가.2023년 10월 사업시행계획 인가, 2024년 상반기 감정평가 및 분양신청, 관리처분계획 수립.2024년 상반기 철거 예정, 이후 본격적으로 신.. 2025. 5. 1.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재건축 진행상황 및 앞으로의 전망 목차서울 강남구 대치동의 은마아파트는 대한민국 재건축의 상징으로 오랜 기간 주목받아온 대단지입니다. 최근 사업이 본격적으로 궤도에 오르며, 강남 부동산 시장 전체에 큰 파장을 예고하고 있습니다.은마아파트 재건축의 주요 내용재건축 규모지하 4층~지상 최고 49층, 총 5962가구(공공임대 891가구, 공공분양 122가구 포함)로 탈바꿈할 예정입니다. 기존 4424가구에서 184가구가 늘어났습니다.용적률 상향기존 300%에서 320%로 상향됐으며, 역세권 개발 인센티브를 활용해 층수도 기존 35층에서 49층으로 높였습니다. 공공기여 확대서울시 요구에 따라 침수 예방용 빗물 저류시설(저류조) 설치, 소공원 및 문화공원 조성, 공영주차장 신설 등이 포함됐습니다.GTX-C 노선 이슈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C .. 2025. 5. 1.
이촌동 한강맨션 재건축 진행단계, 특징, 전망 목차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로 248, 한강맨션은 서울 한강변 재건축 시장의 대표적인 대어로 꼽히며, 입지와 사업성 모두에서 매우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1971년 준공된 이 아파트는 한강 조망권, 낮은 용적률, 강남·여의도와의 뛰어난 접근성 등 여러 장점을 갖추고 있어 재건축 기대감이 꾸준히 높아지고 있는지역 입니다. 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재건축 진행단계현재 한강맨션 재건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진행되고 있습니다.기본계획 수립 및 안전진단재건축 추진위원회 설립(2003년) 이후 기본계획 수립, 안전진단, 정비구역 지정 등 초기 단계가 완료되었습니다.조합설립 및 사업시행인가 상가동의 동의율 문제로 지연됐으나, 2017년 상가주들의 입장 변화로 조합설립이 빠르게 진행됐고, 2019년에는 서울시 건축위.. 2025. 5. 1.
‘영끌’ 대신 투자받아 내 집 마련, 지분형 모기지 목차지분형 모기지, 무엇이 달라질까요? 최근 정부와 금융당국이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 대신 ‘지분형 모기지’와 같은 새로운 주택금융 제도를 추진하며, 내 집 마련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습니다. 이 제도는 주택을 주식처럼 쪼개어 공공이나 민간 투자자의 자금을 끌어와, 매수자의 초기 자금 부담을 크게 낮추겠다는 취지입니다.지분형 모기지란?지분형 모기지는 개인이 집을 살 때 한국주택금융공사(HF, 이하 주금공) 등 정책금융기관이 집값의 일부를 지분 투자자로서 부담하는 방식입니다. 즉, 집값의 10% 정도만 현금으로 준비하면, 은행 대출과 주금공의 투자로 나머지 금액을 충당해 내 집 마련이 가능해집니다. 예를 들어 10억 원짜리 집을 살 경우,매수자는 1억 원(10%)만 준비은행 대출 4억 원(40%.. 2025. 5. 1.
전세임대형 든든주택 입주자 모집 지원자격, 임대조건, 우선순위, 신청방법 목차올해 정부가 무주택자라면 소득·자산 기준 없이 누구나 신청할 수 있는 새로운 전세임대주택, ‘전세임대형 든든주택’을 전국 17개 시·도에 총 5,000가구 공급합니다. 전세사기 걱정 없는 안전한 집, 저렴한 이자, 넉넉한 거주기간이 특징입니다. 전세임대형 든든주택은 정부가 전세사기 위험이 높은 비(非)아파트 주택(빌라, 다세대, 도시형생활주택 등)에서 안심하고 거주할 수 있도록 설계한 새로운 유형의 전세임대주택입니다. 2025년 첫 입주자를 모집하며, 주요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전세임대형 든든주택이란?빌라, 다세대, 도시형 생활주택 등 아파트가 아닌 주택에서 최대 8년간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새로운 전세임대주택입니다. 기존에는 저소득층이나 청년, 신혼부부 등만 지원 대상이었지만, 이번 든든주택은.. 2025. 5. 1.
인천 천원주택(전세임대주택) 보증금, 위치, 신청방법, 신청서류, 문의처 목차인천 천원주택(전세임대주택)은 신혼부부와 신생아 가구의 주거 부담을 줄이기 위해 인천광역시와 인천도시공사(iH)가 시행하는 주거복지 사업입니다. 하루 1,000원(월 3만 원)의 저렴한 임대료로 최대 6년간 거주할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보증금 및 임대료전세보증금 한도: 최대 2억 4천만 원(아파트), 비아파트는 최대 2억 원입주자 자부담: 전세보증금의 20%를 본인이 부담(예: 2억 4천만 원의 경우 4,800만 원 자부담)임대료: 1일 1,000원(월 3만 원)관리비 및 기타 비용: 별도 부담위치 및 공급주택 유형공급지역: 인천시 전역(강화·옹진 제외)주택유형: 신혼·신생아Ⅱ(아파트), 전세임대형 든든주택(비아파트, 다세대·연립 등)공급규모: 2025년 총 500호(신혼·신생아Ⅱ 200.. 2025. 5. 1.
서울 1호 역세권 청년주택, 노량진 사업지 공매로 좌초 목차서울시가 청년 주거안정의 상징으로 내세웠던 ‘1호 역세권 청년주택’ 사업지, 노량진동 고려직업전문학교 부지가 900억 원대에 공매로 넘어가며 사실상 사업이 좌초됐습니다. 서울시의 청년주택 공급 정책에 적지 않은 타격이 예상되는 이번 사태의 전말과 그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노량진 역세권 청년주택, 어떻게 시작됐나?노량진 역세권 청년주택 사업지는 2019년 ‘서울특별시 역세권 청년주택 공급 지원에 관한 조례’에 따라 서울시장이 직접 첫 사업지로 지정한 상징적인 곳입니다. 당시 문상주 비타에듀 회장이 소유한 고려직업전문학교 건물을 허물고, 지하 3층~지상 18층, 총 299가구 규모의 청년주택을 짓는 계획이 서울시에 제출됐습니다. 내부 구성은 단독형 155가구, 쉐어형 80가구, 신혼부부형 64가구로 다양.. 2025. 5. 1.
반응형